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애플의 아이폰 생산기지 이전: 중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본문
Posted on April 25, 2025 by Economic Trends Analyst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55366642139728&mediaCodeNo=257&OutLnkChk=Y
“애플, 내년부터 미국 판매 아이폰은 모두 인도서 생산”
11일, 상하이 황푸 지구에 위치한 애플 스토어에 아이폰 16 프로 맥스가 전시되어 있다.(사진=AFP) 애플이 내년부터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아이폰은 인도서 생산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4일(
www.edaily.co.kr
미-중 무역 갈등과 생산기지 이전의 가속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정책 강화로 인해 애플이 아이폰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인도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수십 년간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며 글로벌 제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해온 중국에게 이는 단순한 한 기업의 공장 이전이 아닌, 경제 전반에 걸친 구조적 충격을 의미합니다.
애플의 생산기지 이전은 단기적인 대응이 아닌 장기적인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일환으로, 이로 인해 중국 경제는 어떤 도전에 직면하게 될까요?
직접적인 경제적 타격
아이폰 생산의 인도 이전은 중국 경제에 즉각적이고 가시적인 타격을 줄 것입니다. 우선 폭스콘, 페가트론 등 주요 조립업체들이 운영하는 대규모 공장에서 수십만 개의 제조 일자리가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특히 정저우, 선전과 같은 아이폰 생산 중심지는 이러한 직접적 타격을 크게 받을 것입니다.
또한 아이폰은 중국의 주요 수출품 중 하나로, 2023년 기준 약 2천억 달러 이상의 관련 수출을 기록했습니다. 생산기지 이전은 중국의 무역 수지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외환 보유고 감소와 위안화 가치에 대한 하방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더불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모두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 등 다양한 세금 수입이 줄어들게 되며, 이는 재정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입니다.
공급망 생태계의 와해
중국이 수십 년에 걸쳐 구축해온 전자제품 제조 생태계는 아이폰 생산의 이전으로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배터리, 각종 반도체 등 아이폰 부품을 생산하는 수백 개의 중국 공급업체들이 주요 고객을 잃게 됩니다.
이는 단순한 매출 감소를 넘어 중국이 오랜 기간 공들여 구축한 첨단 전자제품 제조 클러스터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애플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 기업들은 첨단 제조 기술과 엄격한 품질 관리 시스템을 학습해왔는데, 이러한 기회가 줄어들게 됩니다.
거시경제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아이폰 생산기지 이전의 파급효과는 지역 경제에서 국가 전체로 확대됩니다. 정저우와 선전 같은 도시들은 아이폰 생산을 중심으로 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들 지역은 심각한 경기 침체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고용 감소는 지역 소비와 부동산 시장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더 넓은 관점에서, 애플의 이탈은 다른 글로벌 기업들에게도 중국 투자에 대한 재고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잠재적으로 더 큰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세계의 공장'으로서 중국의 위상과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또한 이미 부동산 위기와 소비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 내수 경기는 일자리 감소와 소득 하락으로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 대응 전략의 필요성
중국 정부와 기업들은 이러한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 구조 고도화와 기술 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입니다. 단순 조립 제조에서 벗어나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의 전환이 시급합니다.
또한 내수 시장 활성화를 통해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내 소비를 촉진하는 정책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기업들에게 중국 시장의 매력을 유지하기 위한 비즈니스 환경 개선과 규제 완화도 필요합니다.
애플의 아이폰 생산기지 이전은 단순한 기업의 의사결정을 넘어, 글로벌 공급망의 구조적 변화를 상징합니다. 이는 중국 경제에 단기적인 어려움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경제 구조 재편의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중국이 이러한 도전을 어떻게 극복하고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을 찾아낼지는 앞으로 글로벌 경제의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전 세계 정부와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가 가져올 파급효과와 기회에 주목하고 적절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