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논술형]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시 주의사항 정리 본문
[논술형]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시 주의사항 정리
Dreaming Pig 2025. 6. 17. 09:19Meta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시 시공현장에서 꼭 지켜야 할 기준과 주의사항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토목시공기술사 준비생을 위한 핵심 정보 제공!
안녕하세요!
항상 정보를 나누고, 성장하고 싶은 꿈꾸는 돼지입니다~😊
오늘은 토목시공기술사 시험 준비하시는 분들이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주제인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시 주의사항”**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
이 주제는 단순히 시험 대비용일 뿐만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의 안전한 시공과 품질 확보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답니다.
그럼, 하나씩 찬찬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왜 중요한가요? 콘크리트 해체 시 주의사항의 의미
콘크리트 타설이 끝났다고 해서 끝이 아닙니다.
거푸집과 동바리를 해체하는 시점에서 문제가 생기면 구조물에 균열, 침하, 심각할 경우 붕괴까지 일어날 수 있어요.
이런 사고를 막기 위해선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시점, 재하 상태, 기후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해체해야 합니다.
2. 기본 개념 정리: 거푸집과 동바리란?
구분 | 정의 | 역할 |
거푸집(Formwork) | 콘크리트를 부어 원하는 형상을 만드는 틀 | 콘크리트 형상 유지 |
동바리(Shoring, Strut) | 거푸집을 지지해주는 임시 구조물 | 하중 지지 및 안정 확보 |
※ 거푸집 해체란? →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경화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작업
※ 동바리 해체란? → 거푸집의 지지 역할을 했던 구조물을 제거하는 작업
3.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기준
📌 일반적인 해체 기준 (KCS 및 현장 일반 관행 기준)
구조부위 | 최소 양생 기간 (20℃ 기준) | 강도 확보 기준 |
슬래브(1방향) | 3~5일 | 설계기준압축강도의 50% 이상 |
보(하부) | 7일 | 설계기준압축강도의 70% 이상 |
기둥 | 2~3일 | 설계기준압축강도의 70% 이상 |
벽체 | 2~3일 | 설계기준압축강도의 70% 이상 |
※ 온도 저하 시 강도 발현이 늦어지므로 기간을 늘려야 하며,
현장에서는 콘크리트 시험체(공시체) 강도 확인을 통해 해체 시기를 결정하는 게 원칙입니다.
4. 해체 시 주의사항 6가지
- 강도 확인 후 해체
→ 공시체 시험을 통해 목표 강도 도달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부분 해체 원칙 적용
→ 한 번에 전면 해체하지 말고, 하중이 분산되도록 순차적으로 해체해야 해요. - 상부 재하 상태 확인
→ 상부에 쌓여있는 자재나 중장비 하중이 남아있다면 해체 금지! - 기후 조건 고려
→ 저온기(겨울철)엔 양생 지연으로 해체 시기 연장 필요. - 지반 및 구조물 안정성 체크
→ 해체 중 침하, 전도,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 점검 필수! - 안전조치 및 인원 통제
→ 해체 구간 주변에는 안전펜스, 감시요원 배치 필요.
5. 잘못된 해체 사례와 그 위험성
사례 | 발생 원인 | 결과 |
슬래브 붕괴 | 조기 해체, 강도 미확보 | 인명 피해, 구조물 손상 |
보 처짐 | 동바리 조기 제거 | 보 부재 휨, 균열 발생 |
기둥 균열 | 수직재 하중 집중 | 구조적 안정성 저하 |
6. 체크리스트로 정리하는 현장 적용 포인트
🔍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체크리스트
- 공시체 강도 시험 결과 확보
- 해체 계획서 작성 및 승인
- 해체 순서 및 방법 검토
- 작업자 사전 교육 및 안전 장비 착용
- 해체 전 구조물 및 지반 상태 점검
- 해체 중 이상 징후 발생 시 즉시 중지
7. 마무리하며 – 실무와 시험 모두에 유용한 포인트
이 주제는 단순한 기술이 아닌 **“안전과 품질을 확보하는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해체 시기, 강도 기준, 해체 순서, 위험요소 등을 중심으로 정리된 틀을 만들어두시면 좋습니다.
📝 토목시공기술사 답안 샘플
문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거푸집 및 동바리는 콘크리트를 타설 후 초기 경화 시까지 형상 유지 및 하중 지지를 위한 임시 구조물이다.
적절한 해체 시기와 방법이 지켜지지 않으면 구조물에 균열, 처짐, 붕괴 등의 위험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문항을 통해 기술자는 구조물의 강도 발현, 안전성 확보, 현장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실제 시공 시 적정 해체 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2. 해체 기준
- 기온 20℃ 기준
- 슬래브 : 3~5일 (강도 50% 이상)
- 보 및 기둥 : 7일 이상 (강도 70% 이상)
- 공시체 시험 강도 확인
- 강도 시험을 통해 해체 여부 판단이 원칙임
3. 해체 시 주요 주의사항
- 강도 미달 시 해체 금지
- 부분 해체 원칙 적용
- 상부 재하 상태 점검
- 기온 및 기후조건 고려
- 해체 중 구조물 안정성 모니터링
- 안전관리 철저 (작업자 통제, 보호구 착용 등)
4. 구조부별 해체 조건 (표)
구조부위 | 최소 해체 기간 | 강도 기준 |
슬래브 | 3~5일 | 50% 이상 |
보/기둥 | 7일 이상 | 70% 이상 |
5. 시공사례
서울 ○○현장에서는 슬래브 거푸집을 조기 해체 후 재하 작업을 진행하다가 하부 보의 처짐 및 크랙이 발생한 사례 있음.
원인은 공시체 확인 없이 단순 양생 기간만 판단한 것이며, 이후부터는 반드시 강도 확인 후 해체하도록 개선됨.
6. 결론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는 콘크리트 구조물 품질 확보와 안전 시공의 핵심 단계이다.
강도 기준 충족, 해체 순서, 현장 여건 고려 등의 요소를 종합 판단하여 해체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기술자은 이를 구조물별, 환경별로 구분하여 고려할수 있어야 하며
특히 강도 확인을 통한 해체 결정은 향후 법적 문제를 방지하는 중요한 행위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st Dream 공부하면 professional 돼지 > 토목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장교의 케이블 가설방법 및 장력 조정방법 (0) | 2025.06.25 |
---|---|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시 주의사항 완벽 정리 (0) | 2025.06.24 |
[논술형] 건설사업관리에서 중점품질관리 (5) | 2025.06.16 |
[논술형] 아스팔트 포장의 소성변형 발생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 2025.06.16 |
[논술형]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 (1)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