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연약지반 (3)
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부마찰력이란 점성토지반에 타설한 말뚝에 있어서 주변 지반의 굴착에 의한 지하수위 저하, 새로운 성토하중 등으로 압밀이 생기면 연약층이 침하하여 말뚝 주변 마찰이 하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에 삽도를 보시면 처음의 말뚝이 침하되어 옆에 말뚝 침하량만큼 내려간 것을 볼수 있습니다. 그런데 말뚝 주변 침하도 침하가 됬죠. 심지어 말뚝보다 침하가 더 빨리 되버렸습니다. 이때 침하된 말뚝 주변에는 원래의 마찰력과는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이 생기게 되겠죠. 그것이 정(+)의 반대인 부(-)마찰력이 됩니다. 일반적인 흙이라면 이럴 경우가 없겠지만 말뚝의 하부 지지층은 단단한 흙인데 말뚝 상부는 연약점토층이라고 한다면 가능하겠죠? 현장에서 실제 눈에 띄지는 않지만 많이 발생하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일부러 ..

연약지반 치환공법이란 전단강도가 낮은 연약지반을 지지력증대의 목적으로 양질의 토사로 바꾸어주는 공법을 말합니다. 연약지반개량공법의 목적은 대동소이한데요. 전,투,압,지 라고해서 전단강도 향상, 투수성 감소, 압축성 감소, 지지력증대가 가장 큰 목적입입니다. 이런 연약지반개량을 하기위해서는 일단 어느정도의 규모로 얼마만큼의 전단강도나, 압축성을 가진흙이 분포되어있는지 알아야 공법결정을 할수있겠지요. 이 치환공법이 간단하고 확실한 효과가 있는 공법이긴하나 치환되는 흙의 양이 많으면 조달하기가 어렵거나 공사비가 과다해질수 있기때문에 먼저 분포범위부터 알아야겠지요. 일반적으로 범위가 넒으면 치환보다는 프리로딩이나 탈수공법등을 사용하는 편입니다. 노선에 따라 일정한거리로 지반조사를 하다보면 연약지반분포의 규모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