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적산온도 (2)
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적산온도란 란 콘크리트 강도발현을 위해 비빈후 부터의 재령일*양생온도의 적분함수를 나타낸것을 말합니다. 사실 저는 적산온도개념을 몰라서 이해하는데까지 좀 오래걸렸는데요. 같은걸 겪고 있으신 분이 있다면, 일단 암기하고 의미를 몰라도 사용하시게 되다보면 나중에 이해하실수 있게될겁니다. 일단 적산온도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그래프를 그립니다. 5000℃˙hr 이면 재령7일의 강도가 발현되고, 20000℃˙hr 이면 재령28일의 강도가 발현되니 이걸 공식화해서 몇일정도 지나면 탈형해도 되겠구나, 몇일정도 지나면 강도가 어느정도 발현이 되겠구나라고 가능하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말해도 잘 이해가 안되신다면(제가 설명을 못했기때문이죠.. 쿨럭...) 아래 그래프를 보십시요. 구조물을 타설하고 나면 양생을 하죠...

안녕하세요~ 오늘은 적산온도에 관하여 알아볼까합니다. ಠ_ಠ 적산온도란 콘크리트의 양생시간과 양생온도의 곱을 적분함수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적산온도의 산정하는 목적은 초기강도 추정이나, 양생일자 추정(거푸집 해체 시기), 초기양생 등을 추정할수 있고,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의 텐션시기도 결정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중콘크리트에서 배합강도와 W/B의 보정을 하기 위함입니다. 조금더 자세한 내용은 연습한 페이지를 보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대제목으로는 1. 적산온도의 정의 2. 적산온도의 산정목적, 산정방법 등 3. 적산온도와 압축강도의 관계, 적산온도에 따른 유형별 압축강도 등 4. 적산온도에 따른 초기강도산정, 탈형일 산정방법, 배합비 보정방법 등 이 있겠네요. 사실 현장에서 적산온도를 직접 산정해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