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리세팅 (2)
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교좌장치란 교량상부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는 장치로 온도변화, 신축량, 하중에 유연해야합니다. 앞서 신축이음문제에서도 언급했지만 자재에 따른 특성으로 건조수축이나 온도(계절)에 다른 변화량들이 구조물에 발생하게 되기때문에 여유를 준다고했지요. 다른측면에서 생각해보면 콘크리트나 강재가 계속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이죠. 당연한거겠지만 부재들이 서로 붙어있으면 좌굴, 변형, 뒤틀림등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중간중간 이음부와 이음장치들을 설치하는데 빔,슬래브와 교각, 교대를 연결해주는 부분, 즉 지점부분에 설치하는 장비를 교좌장치라고 하죠. 구조역학을 공부하신분이면 지점부에 걸리는 힘이 수직, 수평, 모멘트가 있다는건 아시죠? 그래서 이 힘들에 대응하기 위해 교좌장치는 설치됩니다. 그래서 수평, ..

1. 여러 종류의 거더를 시공했다고 했는데, RPF 거더 (preflex beam)에 대해 설명하시오 A) 예, 답변드리겠습니다. RPF거더는 프리플렉스 빔의 한 종류로서 고강도 강재의 보에 미리 솟음을 주고 제작후 하부 플렌지에 프리플렉스 하중을 가하고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 빔입니다. 제작순서로는 ①캠버가 적용된 빔을 제작장에으로 들여와 ②1/4지점과 3/4지점에 프리플렉스 하중을 재하하여 편후 ③40MPa의 고강도콘크리트를 하부플렌지에 타설 합니다. ④일정 기간 양생 후 하부 강연선들을 긴장하고 ⑤가설작업후 상부 플렌지와 슬라브를 타설합니다. 이 프리플렉스 빔의 특징으로는 일반빔보다 형고가 낮아 가볍고 50m정도의 장대거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단점으로는 하중 재하와 제거시 서서히 해야하며, 숙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