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SC (2)
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강도가 낮은 부위에 강선긴장을 통한 압축강도를 가하여 만드는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이름에 프리(pre-)라는 개념이 사전에 무언가의 전에라는 의미이죠. (=post는 반대의 개념이죠 이후의, 나중에...등등 ex) 포스트 코로나=코로나 이후의) 이름처럼 사전에 긴장력을 부여해서 압축력이 생기고 그로인해 부재에 인장력을 상쇄시켜버리게 됩니다. 말로는 다소 이해가 어려우니 삽도를 보시죠. 맨위에 그림은 일반적인 '보'구조물 입니다. 거더, beam, 기둥 등 다양한데요. 제일 흔한 콘크리트 보로 생각보겠습니다. 상식적으로도 길다랗고 무거운 부재를 양끝에 들고있으면 당연히 가운데가 처지겠지요? 이때 양측의 단면에서 보게되면 맨아래 그림의 직사각형처럼 나올텐데요. ..

1. 교량 시공중 거더거치 방법(가설공법)에 대하여 설명해보세요. A) 예, 답변드리겠습니다. 교량 가설공법은 지지방식과 운방방식으로 분류되며, 지지방식은 동바리, 압출공법, 가설트러스 공법, 캔틸레버식 공법이 있고, 운반방식으로는 크레인, 케이블, 리프트 업 바지, 폰툰크레인 공법등이 있습니다. 저희 현장에서는 설치 계획된 거더의 길이가 25~50m 이고, 주변지형이 논경지로 하부공간이용이 가능하며, 근처에 지방도 및 국도같은 도로가 인접하여 접근성이 좋아 사전에 크레인이 접근하기 좋도록 폭 3m 내외의 가설도로를 시공하여 350t 규모의 하이드로 크레인 및 250t 크롤라 크레인으로 PSC 거더 및 ST.box 거더를 거치하였습니다. 크롤라 크레인작업시에는 크레인의 전도위험을 방지키 위하여 저속운행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