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필답형] FCM 본문

1st Dream 공부하면 professional 돼지/토목시공

[필답형] FCM

Dreaming Pig 2020. 9. 17. 09:19
반응형

  FCM교량의 시공 방식 중 하나로 교량 하부에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 특수한 가설장비를 이용하여 각 교각으로부터 좌우의 평형을 맞추면서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접합하는 방식으로 경간을 구성하면서 인접한 교각에서 만들어져 온 세그먼트와 접합하는 방식의 시공법을 말합니다.  철도쪽에서는 다소 보수적이라 이런공법을 사용한적을 본적은 없는데 고속도로에서는 간혹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출처: 위키백과

   이렇게 특수한 공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1경간의 시공가능 길이가 길기(80~250m) 때문에 하부에 운행중인 철도나 도로들이 있을때 아니면 지장물들이 있을때 장경간의 교량이 필요시 사용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PSC(프리캐스트 거더)의 경우 길어야 25~30m 정도이기때문에 교각개소수가 늘어날수 밖에 없죠.

 

   도심지에서도 위 사진처럼 하부에 차량운행시에 장경간을 요구하기도 하지만 산악지역이나 깊은 계곡, 해상구간등에서도 필요한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장경간으로서의 매력도 있지만 동바리가 필요없으니 시공성면에서도 좋습니다. 그리고 폼트래블러와 같은 이동식거푸집을 통해 시공속도도 향상시킬수있죠.

플트래블러(출처: contec)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겠죠? 아무래도 동바리형 거치방식보다 다른 설비가 많이 들어가기때문에 직접공사비는 다소 많을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조물의 언벨런스 모멘트를 고려해야하기때문에 설계가 어렵죠. 콘크리트 구조물은 취성이나, 휨응력등에 약하기때문에 이런 모멘트가 계속 부여되고있는 구조물이라면 균열이나 내구성에 상당히 영향을 받을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에대한 대비책을 준비해야합니다. 대체적으로 가벤트를 통해 지지하고, 샌드잭, 픽세이션바, 스테이케이블 등을 통해 UM(불균형모멘트)를 대비합니다.

출처: 아이올리고

   좀 쉽게 이해하자면 캠핑에서 텐트나 폴대새울때 지지대로 받쳐주고 줄로 땡겨서 고정시키고 핀으로 고정하는 등의 행위들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공법문제라면 시공순서를 알아야겠지요?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https://blog.naver.com/ys1132/220536788504

   시공시 주의사항으로는 키세그먼트 연결전과 연결후로 구분하여 알아보면 키세그먼트 시공전 불균형모멘트를 주의하기 위하여 픽세이션바, 가벤트등의 대책설비들이 시공이 되어있는 지 확인되어야 하며, 주두부 작업시 낙하나 , 추락등에 대한 안전설비들도 잘 마련되어있어야 겠지요. 그리고 키세그먼트 연결후에는 각 부재들이 고정이 잘되어있는지, 변형이 일어나진 않았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하여야 합니다.



   

대제목을 한번 연습해볼까요

1. FCM의 정의

2. FCM의 시공순서, 캠버관리, 시공중 처짐영향요인, 처짐 등

3. FCM의 특징, 장단점, FSM과의 특징비교 등

4. FCM 시공시 주의사항, 시공순서에 따른 시공시주의사항 등

5. FCM의 불균형 모멘트 관리대책, 대책 등

 

  필요에 맞게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대책이든 문제든 대제목아래 분류(재료적, 시공적, 배합적, 유지관리적, 설계적 등)를 통해 기술하시면 보기 편해지기때문에 점수에 유리하다는점 기억해두시면 좋을 듯 합니다.

 

 

 포포팬시 진동 스마트 스톱워치, 화이트계열투유바이조희선 자세교정 2단 독서대겸 필기대공부하기가 죽기보다 싫을 때 읽는 책, 다연기술사합격 시크릿노트, 성안당토목시공기술사 이론과 실제 (하) 시사성문제 약자암기법, 예문사프리즘 충전식 LED 스탠드 PL-1400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1st Dream 공부하면 professional 돼지 > 토목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답형] 불균형모멘트  (0) 2020.09.21
[필답형] Key Segment  (0) 2020.09.18
[필답형] Benkelman Beam  (0) 2020.09.16
[필답형] ACP & CCP  (0) 2020.09.15
[필답형] 포장 Life Cycle  (0) 2020.09.1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