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면접형] 면접시 질문 및 답변 (기초) 본문

1st Dream 공부하면 professional 돼지/토목시공

[면접형] 면접시 질문 및 답변 (기초)

Dreaming Pig 2020. 4. 1. 09:49
반응형

1. 얕은기초의 침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변) 네. 답변드리겠습니다. 얕은기초란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층으로 직접전달하는 기초입니다.
   기초의 파괴형태로는 전반전단파괴, 국부전단파괴, 관입전단파괴 가 있으며 이로인해 침하가 발생하는데 관입, 국부, 전단파괴순으로 침하량이 크며 지반의 종류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집니다.
   지난 현장에서는 지지층이 비교적 높아 교각기초를 직접기초로 시공한 경험이 있었는데 설계보고서 및 구조계산서상 보강없이 시공시 전반전단파괴에의해 주변지형에 히빙이 발생하고 침하량도 100mm 이상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었습니다. 그래서 근입깊이를 2m 늘려서 mass콘크리트 타설 후 그 위에 기초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시공한 경험이 있습니다.
   참고로 mass콘크리트 타설시 온도계를 심어 내부외 최외측의 온도차를 측정하였고 25도 이내로 관리하기 위해 배합시 감수제 및 유동화제등의 혼화제를 배합하였고 양생시 습윤양생 및 차양막을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였습니다.

2. 매스콘크리트 타설시. 온도관리 방법에 대하여 말해보세요

 

답변) 네 답변드리겠습니다. 매스콘트리트는 한면 구속시 50cm, 미구속시 80cm의 콘크리트로서 내,외부 온도차가 25도씨 이상일 경우 사용하게 됩니다. 이렇게 내,외부온도차가 날경우 온도균열이 발생하기때문에 온도관리가 필요합니다.
   이에따라 온도균열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재료적, 배합적, 시공적측면으로 파악할수가있습니다. 재료적으로는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일수록, 배합적으로는 단위시멘트량이 높거나 최대골재치수가 작을경우등 이며, 시공적으로는 타설속도가 빠르거나 타설높이가 1.5m 이상으로 높거나 할때 또한 적절한 신축이음등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있지 않을 때 더욱 발생하게 됩니다.
   이처럼 온도균열에 대한 대책으로는 중용열시멘트나, 고성능 AE감수제등을 사용하고 배합시 단위시멘트량을 줄이고 잔골재율을 낮추며 시공시에는 타설속도와 높이등을 1m 이내로 줄이고, 양생시에도 pipe coolling 및 pre cooling 로 재료를 냉각시켜주는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온도측정시에는 내부와 외부에 측정센서를 사전에 설치하여 양생기간 중 디지탈 온도계등으로 확인할수 있습니다. 이때 측정값에 의해 온도인장응력을 산출하고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온도 인장응력값으로 나누면 온도균열지수를 산출할수 있습니다. 이 온도균열지수를 1.5이상으로 관리함으로써 균열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저희현장에서도 기초시공전 2m깊이의 매스콘크리트를 타설하였고 타설전 외측부 중앙부 등 총 5개소 온도센서를 심어 측정하였고 온도균열지수를 1.8~2.0 정도로 관리하여 온도균열을 최대한 저감시켰습니다.

 


3. 무리말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변) 네 답변드리겠습니다. 무리말뚝이란 2개 이상의 말뚝을 지반에 밀실하게 박으므로써 응력중복에 의해 다짐효과가 생기고 지지력이 감소되는 말뚝으로써 무리말뚝의 지지력은 각 말뚝의 지지력 합보다는 작습니다. 그리고 group effect에 의해 단말뚝과는 다른 거동을 하게되고 무리가 한덩어리로 거동하여 침하량도 더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무리말뚝 지지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말뚝의간격, 시공되는 토질, 타입이나 매입등의 시공방법, 파일길이, 직경 등이 영향을 미치며, 지지력 부족시에는 간격조정 및 말뚝의 수량을 증가시키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현재 저의 현장에서도 여러개소의 교량기초에 대하여 PHC 말뚝을 매입으로 시공하였는데 설계보고서 및 구조계산서 검토결과 모두 무리말뚝에 대한검토가 이루어져 파일간격을 1.25~1.5m 로 확보하여 말뚝을 매입하게 되어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말뚝의 간격은 최소 말뚝 직경의 2.5배로 저희현장에서는 D600 의 파일에 대해 1.55m로 적용하여 시공하였습니다. 또한 파일시공시에도 현장관리자로서 파일간격 및 위치를 GPS 및 자로 확인후 10mm내외 오차로 조정하여 시공하였습니다.

3. 보통 말뚝을 박으면 설계위치랑 오차가 많은데, GPS로 되나여?

답변) 네 답변드리겠습니다. 예전에는 말뚝 위치 측정시 광파기 등으로 측정하였으나 시간이 많이걸려서 현재는 대부분GPS로 측정을 하고 주변에 높은 건물이나 전파등으로 지장을 줄수 있는 구조물이 있는경우에만 광파기로 측정합니다.요즘에는 예전과 달리 GPS의 오차가 10~30mm 이내로 나오고 좌표 측정시 레벨또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성 측면에서 유리하고자 GPS로 최외곽의 4개 말뚝의 위치를 찍고 줄자로 간격을 재어 그 개소마다 마킹을 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