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rchives
Notice
Recent Posts
목록활성도 (1)
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활성도란 점토의 광물성분이 일정하다고할 때 2μ보다 가는 입자의 중량 백분율에 대한 소성지수의 비로 나타내며, 이것이 1.25이상은 활성이 강하고 0.75이하는 활성이 약하다고 봅니다. 점토활성도(A) = 소성지수(PI) / 2μ보다 가는입자의 중량백분율 . 여기서 소성지수도 알아야겠죠? 소성지수란 예전에 컨시스턴시를 공부하면서 한번 접한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액성한계에서 소성한계값을 뺀 값으로 이 값으로 흙의 분류도 했었죠? https://dreaming-pig.tistory.com/140 [필답형] Atterberg 한계 Atterberg한계란 (컨시스턴시라고도합니다.)점토입자간의 부착력, 변형, 파괴의 저항력 정도를 액성, 소성, 반고체, 고체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사질토에는 점착력이 없기때문에..
1st Dream 공부하면 professional 돼지/토목시공
2020. 8. 12.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