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CP (3)
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ACP란 아스팔트포장으로서 교통하중을 노상으로 분산시키는 연성구조체 포장을 말하며, CCP란 콘크리트포장으로서 교통하중을 콘크리트슬래브가 직접 받도록하는 강성구조체 포장을 말합니다. 도로포장하면 이 두가지 포장이 전부라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리고 이 두 포장은 시공실적도 많고 연구도 많이되어있으며 현재 연구중인 부분도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상세히 알고자하면 내용이 방대하죠? 저희는 시공기술사를 목적으로하기때문에 시공함에 있어서 어떤방법으로 관리하고 시공해야 구조적인 성능을 제대로 발휘되고 설계의 내용이 잘반영될수 있을지에 대해서정도만 공부하시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일단 이 두가지 포장의 개요적인 부분와 특성 그리고 재료들을 파악하시면 실제 시공하실 때 유의해야하는 부분들과 중점적으로 생각해야..

반사균열이란 콘크리트 포장위에 아스팔트 덧씌우기시 하부층의 균열, 줄눈이 있는 경우, 상부층에 전달되어 나타는 균열을 말합니다. 이런건 사진으로 보면 기억에 훨씬 잘 남을것 같은데요. 위에 사진을 보시면 아스팔트에 랜덤모양의 균열이 아니라 일자로 쭉 균열이 발생했죠? 이는 하부에 콘크리트포장에 있는 줄눈을 따라 위의 아스팔트에도 영향을 받고 그 모양대로 균열이 발생되었네요. 줄눈 뿐만아니라 기존도로의 균열, 요철등에 의해서도 발생할수 있고 잘 버티고 있다하더라도 상부로 무거운 중차량이 다니다 보면 아무래도 취약부인 줄눈부나 강성이 약했던 개소가 결국 이런식으로 균열을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LCC가 저하되니 경제성이 안좋아질 것이며, 단차발생으로 도로도 파손되지만 2차적으로 주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