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건축시공기술사 (78)
꿈꾸는 돼지의 Dreams come true

숏크리트 리바운드란 숏크리트 타설시 압축공기에 의해 뿜어 시공면에 붙일때 안착을 못하고 반발되서 나오는 량을 말합니다. 일단 숏크리트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암반면에 뿜어 붙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터널 지보재 뿐만아니라 비탈면 안정이나 가시설시 굴착면의 안정을 위해서도 뿌리는 일종의 보호공법이죠. 그런데 이 숏크리트가 시멘트와 혼화재료, 골재등 섞어 뿜어붙이는 것으로 타설과는 다른 개념이기에 100 이라는 양을 쏘아도 다 붙지 않고 일부 튀어나게되죠. 이를 리바운드라고 합니다. 당연히 100의 양을 쏘면 100이 다 붙어야 공사비도 경제적이고 시공도 효율적이겠죠 그래서 이 리바운드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일단 숏크리트의 리바운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숏크리트를 뿌리는 거리와..

지진이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해 지구의 표면이 흔들리는 현상으로, 힌히 자연적 원인 중 단층 면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한느 변위 자체를 지진이라고 합니다.(위키백과). 이러한 지진은 크고작은 피해를 일으키죠. 그래서 문명은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줄이고자 이 지진에 대응하는 설계를 하게 되는데 크게 세가지 방법으로 대응을하게 됩니다. 첫번째는 내진으로 지진에 맞서는 개념입니다. 그래서 예를 들자면 일반구조물 축조시 30cm 두께로 하면 될것을 지진에 대비해 50cm 의 두께로 두껍게 증폭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두번째로 면진입니다. 면진은 지진파흡수장치와 같이 완충기역할을 하는 구조를 설치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개념입니다. 세번째로 제진은 지진파를 상쇄시켜 지진파를 줄여주는 설계를 말합니다. 요즘같은경우 지진으로..